이것이 나의 인생/My Music

광주의 아픔을 잊지 말자, 임을 위한 행진곡 by T군

자발적한량 2008. 7. 3.

목차

728x90
반응형
 

임을 위한 행진곡

 임을 위한 행진곡은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린 노래로서 백기완의 시 '묏비나리'(1980년 12월)에서 가사를 따와 광주지역 문화운동가인 김종률씨가 작곡을 하였습니다. 이 노래는 광주 민주화 운동 때 시민군 대변인으로 도청에서 전사한 윤상원과 1979년 겨울 노동현장에서 일하다 숨진 박기순의 영혼 결혼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굿 '넋풀이'에서 영혼 결혼을 하는 두 남녀의 영혼이 부르는 노래로 발표되었습니다. 그 뒤, 1982년에 제작된 음반<넋풀이-빛의 결혼식>에 수록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민주화운동은 물론 각종 시민사회단체, 노동단체, 학생운동단체의 집회를 시작하는 때에 '민중의례'의 일부로서 널리 불렸습니다. 또한 중국어 등 외국어로도 번역되어 불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2008년 대한민국의 대중 집회에서도 보편적으로 불려지는 노래이기도 합니다.

 이 노래는 광주 항쟁 때 시민군 대변인으로 도청에서 전사한 윤상원과 79년 겨울 노동현장에서 일하다 숨진 박기순의 영혼 결혼식을 내용으로 하는 노래굿 [넋풀이]에서 영혼 결혼을 하는 두 남녀의 영혼이 부르는 노래로 작곡되었습니다. 기타와 괭과리의 반주가 함께 어우러지는 분위기가 호탕하면서도 투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데 지금 우리가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라고 부르는 마지막 구절이 원래는 '앞서서 가나니'였다는 점은 이 노래의 맥락을 짐작하게 합니다. 즉 두 영혼이 '우리는 앞서서 가니 살아 있는 자들이여 기운을 내어 뒤를 따르라.'고 독려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다짐하는 내용인 것입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0년대 초 광주항쟁의 패배감과 좌절감을 극복하고 승리의 의지와 투쟁적  역동성을 획득해낸 최초의 작품입니다.  광주항쟁 직후인 1981년에 광주항쟁은 '항쟁'으로서보다는 '대학살'로 다가왔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엄청난 죽음에 충격받고 주체할 수 없는 패배감과 죽지 않고 살아남은 자로서의 자괴감, 죄의식에 젖어 있었고, 이러한 패배감과 자괴감은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까지 진보적 지식인들 속에 자리 잡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일찍이 그 패배감과 자괴감을 올바르게 극복해냄으로써 1980년대 새로운 노래의 시대를 열었던 것입니다.
 
 현재 '임을 위한 행진곡'하면 마치 꼭 운동권이나 노동계에서 투쟁목적이라는 잘못된 통념과 오해가 있지만 이곡은 80년 5월의 광주를 추모하기 위해 불려진 노래입니다.
광주의 아픔을 잊지 말자, 임을 위한 행진곡 by T군          광주의 아픔을 잊지 말자, 임을 위한 행진곡 by T군          추천


광주의 아픔을 잊지 말자, 임을 위한 행진곡 by T군 
728x90
반응형
LIST

댓글